본문 바로가기

국제뉴스

신용등급 기준 그리고 단계에 관해

신용등급 기준 그리고 단계에 관해




  신용등급이란 쉽게 표현하면 돈을 빌리는 기업이나 국가의 성적표라 할 수 있다. 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신용평가회사로부터 신용등급을 받아야한다. 그리고 국가가 국제금융시장에서 돈을 조달하기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신용평가회사로부터 국가신용등급을 받아야 한다. 

  회사채 혹은 사채는 주식회사가 자금을 모으기 위해 일반인에게 발행하는 채권이다. 즉 빚문서에 비유될 수 있다. 

회사채등급은 사채를 발행한 기업이 원리금 상황 만기일까지 돈을 제대로 갚을 수 있는지 여부를 따져 그 상환 능력에 따라 정해

나이스홀딩스(구 한국신용정보), 나이스평가정보, 한국신용평가정보(한신평), 한국기업평가(한기평)등 신용평가기관이 매기게 된다.




  기업이 장기 회사채를 발행하고 돈을 빌려갔는데 제 때에 원금을 갚지 못하면 그 손해는 고스란히 투자자가 떠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을 막기 위해 투자자가 미리 참고할 수 있도록 기업의 신용도를 총 18개 등급으로 차등을 둬 평가하는 것이다.

신용등급 기준 / 신용등급 단계 18개 등급은 영문 알파벳 순으로 매기는데 다음과 같다.

 AAA,,AA+,AA,AA-,A+,A,A-,BBB+BBB,BBB-,BB+,BB,BB-,B,CCC,CC,C,D로 표현한다. AAA는 원리금 지급능력이 최상급이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지급능력이 하락함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원리금 지급능력은 있으나 경제여건이나 환경에 따라 원리금 지급능력이 떨어질 위험성이 있는 BBB까지를 

투자적격등급이라고 신용등급 기준 단계로  본다. BB이하는 투자부적격등급(투기등급)이라 한다. 참고로 C는 채무이행 가능성이 거의 없는 상태,

D는 부도나 화의 등으로 이미 채무를 이행 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같은 신용등급은 이자율에 반영되므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일수록

돈을 빌려준 금융기관에 이자를 더 많이 내야 한다.



  국가신용등급도 기업의 신용등급과 별반 다르지 않다. 특정국가가 채무를 갚을 능력과 의사가 얼마나 있는지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 

곧 국가 신용등급이다. 그런데 국가신용등급은 국가만이 아니라 그 국가 내에 있는 개별기업이나 금융기관의 신용등급에도 크게 영향을 미친다.

국가신용등급이 나쁜 국가의 기업은 국제금융시장에서 불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밖에 없다.



  국가신용등급은 스탠더드앤드푸어스,무디스,피치 등 빅3로 불리는 세계 신용평가회사가 주로 평가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와 무디스는 국가신용등급을 모두 21개로 세분하고 피치는 24개 등급으로 나눈다. 

  각 세계 신용평가회사는 각국의 정세와 상황에 따라 신용등급을 올리거나 내리게 된다. 하지만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른바 빅 3로 알려지는 이 신용등급 평가기관의 평가가 반드시 정확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1997년 11월 우리나라가 외환위기를 맞기 직전까지도 이들 빅3는 우리나라를 초우량등급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자 한꺼번에 6단계 등급을 내렸다.



  이들은 국가 외에도 기업들을 평가하기도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도시바, 삼성전자,SK이노베이션 등 다양하다.

주목해야할 점은 이들 신용등급 평가기관이 상대적으로 아시아 사정에 어두워서 아시아 기업에 대한 평가의 정확성은 낮으나,

미국기업에 대해서는 투기등급에 속하는 업체이더라도 평가가 후하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판단이 기업이나 국가의 경제를 망칠 수 있다는 것이 맹점이다. 국가 신용등급은 대한민국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의 중요 지표이며,

신용등급 변화에 따라 자본이 유입 될 수도, 유출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잘못된 정보로 인해 금융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려면 기업설명회 등을 통해 외국인투자자에게 우리나라 기업의 실상을

정확하게 알리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