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뉴스

통화스와프 환율거래에 대해서

통화스와프 환율거래에 대해서 





  통화스와프란 한 나라의 돈과 다른 나라의 돈을 교환하기로 사전에 맺는 약속을 말한다.

통화스와프의 필요성은 1997년 외환 보유액이 급격하게 줄어들면서 시작됐다.

이러한 외환위기를 다시 겪지 않기 위해 2008년 10월 우리나라 정부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한미 양국 간에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즉 우리나라가 필요할 때면 언제든지 300억달러에 해당하는 원화를 

주고 300억 달러를 가져올 수 있게 된 것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불러온 주된 원인은 달러화 부족이었다.

달러는 수출, 수입 등 국제결제나 금융거래에서 꼭 필요한 화폐이다. 이 떄문에 달러화를 기축통화라고 한다.

그런데 글로벌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가 불안해지자 사람들은 안전하고 꼭 필요한 화폐를 확보하고 싶어했다. 바로 달러였다.



  이런 심리로 달러의 공급에 비해 수요가 크게 올랐고 달러의 값어치인 원달러환율도 계속해서 올랐다.

달러에 비해 원화의 가치가 크게 떨어지자 해외 투자자들은 한국경제에 의구심을 갖기 시작했고

달러를 빌려주지 않게 되었다. 사실 미국마저 금융위기로 불안한 상황이니, 우리나라에게까지 달러를 빌려주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자 공급량 부족으로 환율은 계속 오를 수밖에 없었다.



  이때 해결책이 된 것이 바로 통화스와프였다. 통화스와프로 달러화의 유동성을 확보하자 환율이 급락하고

주가가 급등하는 효과가 발생했다. 통화스와프로 한국경제에 대한 국제적 신뢰도도 확보할 수 있었다.

  통화스와프를 일종의 환율 안전장치라 생각하면 쉽다. 통화스와프 덕분에 2008년 이후 전세계가 

글로벌 금융위기에 처했을 때 한국경제는 외화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위기를 극복했다.


  하지만 통화스와프는 영원하지 않고 만기일이 존재한다. 2008년 체결한 한미 통화스와프는

2010년 2월차로 끝났다. 하지만 외화에 의해 휘청거리는 한국경제의 특성상 외화 한미 통화스와프를 다시 체결해

외화유동성을 확보해야한다는 의견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한미 통화스와프에 이어 한중 통화스와프 역시 있다. 2009년 4월 처음으로 원-위엔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은 양국은 현재 2차례 계약기간을 연장한 상태이다. 2015년 1월 기준으로 한중 통화스와프 규모는

원화 64조원에 이르는 거대한 규모로 성장했다. 한중 통화스와프는 양국 간 무역을 확발하게 만들고

경제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7년 정부는 인도네시아, 호주와 통화스와프를 연장한 것에 이어 11월에는 캐나다와 최초로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최고한도와 만기를 설정하지 않은 계약으로 우리나라의 금융시장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런 와중에 2015년 2월 독도 문제 등 과거사 갈등으로 연장이 불발된 한국과 일본 간 통화스와프에 대한

논의 역시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2016년 8월에 양국은 통화스와프 논의를 재개하기로 합의했으나 국정농단 사태와 

겹치면서 현재는 협상을 멈춘 상황이다.

  외환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만들어진 통화스와프는 한 번 종료되면 다시 계약하기가 무척 어렵다.

한미와 한일 통화스와프 종료에 따른 2차, 3차 외환위기 예방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