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핫이슈

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해서

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해서





 SPAC이란 용어를 들어봤는가? 여기서 말하는 것은 흔히 말하는 스펙(specification)이 아니다. 말하고자 하는 SPAC는 기업인수목적회사를

일컫는 약칭이다. 즉 기업인수를 특별한 목적으로 삼는 회사인 것이다.

  이렇게 SPAC는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것과 동시에 그 기업과 합병하도록 설계된 특수목적을 띠고 있다.

그렇다고해서 인수한 기업이 곧바로 SPAC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합병이 완료될 때까지 SPAC는 경영진과 자본금으로만 구성된

페이퍼컴퍼니(서류로만 존재하는 회사)일 뿐이다. SPAC는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도 존재한다.



  사실 대다수 일반투자자들에게 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일은 거의 꿈같은 얘기나 다름없다.

최소한 수십억원에 달하는 기업 인수 자금이 필요한 데다가 이를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기업 M&A에 필수적인 법률, 회계 지식을 일반투자자들이 제대로 알 리가 없다. 

이처럼 특정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하고 싶어도 자금이나 전문지식이 없는 투자자들에게 해법을 제시하는 것이 바로 SPAC이다.



 그렇다면 기업 M&A와 SPAC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흔히 기업의 인수합병은 2개 이상의 기업이 합쳐져 

법률적으로나 실질적으로 하나의 기업으로 재탄생 하는 것을 말 한다.  M&A의 근본적 이유는 기업을 합쳐서 시장점유율을 늘리거나

사업의 다각화,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에 있다.

  이에 비해 SPAC는 조금 다르다. SPAC는 기업 인수에 필요한 자금을 다수의 개인투자가로부터 공개적으로 모집한다.

또한 SPAC는 일반 주식회사 설립과 마찬가지로 우선 발기인이 비상장회사를 설립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다만 아무나 설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증권회사가 반드시 발기인으로 참어해야 한다. 

이처럼 비상장회사를 설립한 후 주식시장에서 기업공개를 통해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한다.



  자금을 모은 후에는 기업을 인수하기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SPAC는 성장 가능성이 높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우량 비상장기업을 인수대상으로 삼는다. 이에 따라 적절한 인수대상 기업을 찾으면

주주들이 주주총회에서 인수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다른 기업과 합병이 성사된 후 SPAC의 주가가 오르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는다.

결국 SPAC는 자금을 모아 증시에 상장한 뒤 우량한 회사를 발굴해서 합병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 다음 그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분배한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SPAC이 상장된후 기업 인수에 이르기까지의 시한을 3년으로 제한하며, 이 기간 내에 다른 기업을 인수하지 못하면

자동적으로 청산절차를 밟게 된다.





  SPAC이 청산절차를 밟을 때는 공모자금 중 신탁계정에 맡겨놓은 돈을 일반투자자들에게 반환한다.

사실 SPAC이 투자자들로부터 관심을 받는 이유는 최악의 경우라도 원금이 어느 정도 보장되기 때문이다.

SPAC은 각종 운용경비를 제외한 공모자금의 90%이상을 외부 신탁기관에 맡겨 별도로 관리한다.

또한 2.5% 수준의 금리로 운용되기 때문에 3년 후에 원금이 대부분 보장된다.

  대표적인 SPAC 성공사례는 2014년 애니팡을 만든 모바일겡미 개발사 선데이토즈와 하나그린스팩의 합병이다.

두기업의 합병 성공은 공모가와 비교했을 때 무려 4813의 수익률을 가져 왔다.



  하지만 2015년 SPAC 신청 19건 중 10건이 상장 승인을 받으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더 것과 다르게,

2016년에는 SPAC 신청 23건 중 4건만 상장 승인을 받으며 성공률이 크게 하락했다.

그 이유는 국내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약세와 수요에측 기관의 능력부족이 꼽히고 있다. 

  SPAC의 수익률은 M&A 성공 여부에 달려 있다. 우량기업과의 합병에 성공하면 SPAC의 주가가 큰폭으로 오르겠으나,

부실기업을 합병할 경우에는 투자자들에게 손실이 갈 수 있다.